리눅스에서 카카오톡 설치하기
[출처] https://itlearningcenter.tistory.com/entry/%E3%80%90Ubuntu-2204-LTS%E3%80%91Wine-%EC%84%A4%EC%B9%98
# Wine 설치를 위해서 자신의 우분투 환경이 64비트인 경우, 32비트 아키텍처를 활성화해야 한다.
sudo dpkg --add-architecture i386
# Wine 저장소로부터 패키지 파일을 다운로드하기 위해서 wget을 설치
sudo apt install -y wget
# Wine을 받기 위한 저장소를 설정
sudo mkdir -pm755 /etc/apt/keyrings
sudo wget -O /etc/apt/keyrings/winehq-archive.key https://dl.winehq.org/wine-builds/winehq.key
# WineHQ 소스 파일을 다운로드
sudo wget -NP /etc/apt/sources.list.d/ https://dl.winehq.org/wine-builds/ubuntu/dists/jammy/winehq-jammy.sources
# 패키지를 업데이트
sudo apt update
# Wine 설치
sudo apt install -y winehq-stable
# Wine 설정
winecfg
# Windows10 설정
# 라이브러리 > d3dx11_43 추가 적용.
# 카카오톡 설치
LANG="ko_KR.UTF-8" wine KakaoTalk_Setup.exe
Installing KakaoTalk on Linux (2019. 06. 08 에 작성함)
1. apt install wine winetricks cabextract
: (필자는 apt-get 대신에 apt를 사용함)
2. WINEARCH=win32 WINEPREFIX=~/.wine wine wineboot: wmp9는 MS에서 링크가 사라짐. 대신에 wmp10를 설치하면 됨. wmp10은 win64에서는 설치가 안됨.
: [필수] wine winecfg로 xp인지 꼭 확인하기 <= 수 많은 삽질을 했지만, Win7 이상에서는 설치후 실행 에러가 떴다.3. .wine/drive_c/windows/Fonts/에 gulim.ttf, batang.ttf 등 복사.: 인터넷에서 다운로드하여 복사했음. 굳이 안해도 상관은 없을 듯.
다운로드(20190608 기준)
4. winetricks 실행4-1. Select the default wineprefix4-2. Install a Windows DLL or component4-3. gdiplus, msxml6, riched20, wmp11 라이브러리 설치.: gdiplus.dll, riched20.dll을 인터넷에 다운로드 하여 system32에 복사.
: 한 번에 설치되면 좋으나 gdiplus, msxml6은 한번에 설치되지만, 설치된 gdiplus.dll은 불완전한지 에러남. riched20.dll은 설치되지 않고 에러남. riched20까지 완료되면, wmp10을 선택하여 설치.
5. KakaoTalk_Setup xp버전으로 다운로드.6. export LANG="ko_KR.UTF-8": (필자는 기본으로 en_US.UTF-8로 되어 있어) 위 처럼 언어 설정을 하지 않으면, 후에 카톡 폰트를 한글로 변경해도 한글 입력이 되지 않았음.7. wine KakaoTalk_Setup.exe: Windows XP 버전으로 설치
8. KakaoTalk.desktop에 LANG을 추가하는 방법[Desktop Entry]Name=KakaoTalkExec=env WINEPREFIX="/root/.wine" LANG="ko_KR.UTF-8" wine-stable C:\\\\windows\\\\command\\\\start.exe /Unix /root/.wine/dosdevices/c:/users/Public/Desktop/KakaoTalk.lnkType=ApplicationStartupNotify=truePath=/root/.wine/dosdevices/c:/Program Files/Kakao/KakaoTalkIcon=12CF_KakaoTalk.0StartupWMClass=kakaotalk.exe
ps.
컴퓨터를 리붓하고 다시 카카오톡을 실행하니, 한글 입력이 안되어 다음 조치를 하였다.
root@CheonRa:~/.local/share/applications
root@CheonRa:~/.local/share/applications/wineroot@CheonRa:~/.local/share/applications/wine/Programs
3개의 디렉토리 아래에 있는 KakaoTalk.desktop에 위 8번처럼 추가하였다.